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

건축기사 실기 22년 4회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뚱땅뚱땅뚱땅땅 입니다. 오늘은 건축기사 실기 22년 4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2년 4회차에서는 적산에서는 철근량 콘크리트량을 물어보았습니다. 철근의 이음을 구하는 문제는 90년대에 는 많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거의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 종종 4점짜리 문제로 철근의 량을 물어보기도 합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철근량과 콘크리트량이 같이 나와서 6점으로 배점이 되었습니다. 적산 문제는 막상 풀어보면 난이도가 높지 않으니 시험 보기 전에는 마스터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22년 4회차는 다소 생소한 용어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다른 쉬운 회차에 비해서 중간정도의 난이도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는 22년 4회차 용어의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다음 설명하는 줄눈의 명칭을 쓰.. 2024. 3. 29.
건축기사 실기 23년 1회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기사 실기 23년 1회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3년 실기 1회 차에는 신규 문제가 보였습니다. 난이도 조절용으로 보이고, 이러한 신규 문제는 이론 공부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 득점은 조금 힘들 수 있습니다. 23년 1회 차 다른 난이도를 봤을 때는 평이한 수준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과년도 기출에서 많은 문제가 나왔고, 공정표 문제의 공기단축은 쉬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몇몇 개의 어려운 문제들이 보이지만 과년도 기출에 다시 집중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겁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건축기사 실기 23년 1회 용어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반조사 방법 중 보링(Boring)의 정의와 종류 3가지를 쓰시오. 가. 정의: 지반을 천공하여 지반의 상태를 확인하.. 2024. 3. 28.
건축기사 실기 23년 2회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기사 실기 23년 2회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도 2회차 시험에는 공정표파트에서 공기단축 문제가 나왔습니다. 공기 단축 문제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중간에 헷갈리면 처음부터 다시 풀어야 합니다. 그래서 시간안배가 중요합니다. 다른 문제를 빨리 해결하여 공기단축문제에 여유로운 시간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만의 팁을 드리자면 공정표와 적산 문제를 가장 먼저 풀어서 좋은 결과가 있었습니다. 집중력이 좋을 때 어려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적산파트에서는 터파기 문제가 나왔습니다. 자주 나온 문제이지만 실수를 줄이는게 관건 입니다. 터파기 량: 온통파기를 기준으로 계산 되메우기량: 터파기량 - 기초체적부 잔토처리량: 기초체적부*토량환산계수 꼭 잊.. 2024. 3. 27.
건축기사 실기 23년 4회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기사 23년도 4회차의 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건축기사를 준비하시는 수험생 여러분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원 합니다. 책에 나와있는 내용을 제 나름대로 요악한 것도 있고, 이해하여 정리한 것도 있습니다. 공부에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다음 용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가. 솟음: 보, 트러스, 슬래브 등을 처짐을 고려하여 상향방향으로 들어 올려 주는것 나. 토핑 콘크리트: 하프 슬라브를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2. 다음 품질관리의 도구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가. 특성요인도: 결과에 어떠한 원인이 상관하는가를 그림으로 그려 나타낸 것. 나. 파레토도: 결점, 불량 등의 발생건수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크기의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것 .. 2024. 3. 26.